제주여행(19)
-
제주바다_섶섬을 품은 올레길 6코스_올레길을 걸으며 담은 영상.
섶섬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었던 올레길 6코스 완주. 서귀포 앞 바다, 토평동의 검은여에서 부터 보목동의 구두미 포구까지 섶섬과 함께하는 올레길 6코스. 제주바다와 함께하는 올레길, 그 중에 가장 아름다운 길이 아닐까한다. https://youtu.be/vrSXDWJw-Pg 6, 7, 8월 제주의 한여름에 올레길 6코스를 걷는다면 보목동에서 물회 한 그릇하면 딱 좋을 것 같다. 자리물회의 고소함이 생각나는 계절이다.
2020.06.20 -
제주오름_물찬 물영아리 오름 분화구_비오는 날 제주여행에서 가볼만한 곳_소 떼를 만나다.
제주여행 중 비가 오는 날이 있다면, 대체할 만한 여행지가 몇 없다. 많이들 알고 있는 서귀포 엉또폭포, 한라산 사라오름 등 야외 관광지가 있을 수 있고, 나머지는 실내 관광지일 듯하다. 여기에 물영아리오름 하나 추가하고 싶다. 산정에 화구호를 가진 오름, 물영아리오름. 오름 분화구에 물이 고이는 오름이라는 뜻이다. 백록담에 물이 차듯이 비가 많이 내린 다음 날은 물영아리오름에 오르면 물이 찬 모습을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비가 내린 양에 따라 분화구에 물이 가득 차있을지, 조금 차있을지 다르긴 하지만. 비가 보슬보슬 내리는 주말 물영아리오름을 올랐다. 비 오는 날 오름 분화구에 물이 많이 찼을까 하는 생각에 일회용 비옷도 장만해서 올랐다. 람사르 습지에 등록된 물영아리오름. 지금 제주도에서는 이 ..
2020.06.02 -
한라산 1100도로(천백도로) 설경 _ 눈이 허리까지 쌓였던 그때 그곳.
한라산 1100도로(천백도로)에 눈이 허리까지 쌓였던 그때의 기억이다. 사진 보관함을 이리 만지고 저리 만지다가 발견한 한라산 1100도로(천백도로)의 눈 쌓인 모습을 발견했다. 2011년 겨울은 한라산에 눈이 정말 많이 내려서 도로 옆으로 눈이 허리까지 쌓여있었다. 천백도로가 초보자에게 어려운 도로였는데, 초보운전자가 무슨 생각으로 그 도로를 넘어갔는지 모르겠다. 여름이 다가오는 지금, 일단 시원한 풍경의 사진으로 마음을 채워본다.
2020.05.27 -
제주여행_성산일출봉에 달이 걸렸다_일출봉 정상에서 본 한라산 낙조
"일출봉의 깎아진 암석을 타고 달이 떠오르고 있다." 성산일출봉은 일출이 장관인데, 달이 떠오르는 모습도 으뜸이다. 일출봉 정상에 오르기 전에 달이 선명하게 밝아 오고 있었다. 일출봉 정상에 오르는 길에 바라본 한라산은 노을과 함께 물들고 있었다. 제주여행 코스로 유명한 성산일출봉을 늦은 오후에 찾는 것도 나름 훌륭한 장면을 마주한다. 늦은 오후에 찾은 성산일출봉, 정상에 오를까 말까 고민하던 중에 달이 저만치 떠간다. 성산일출봉 정상으로 향하는 길에 바라본 한라산. 한라산이 노을에 물들고 있다. 색의 그러데이션이 참 이쁘다. 다만, 성산일출봉 앞 시내의 경관이 개인적으로 마음에 안 들어서 경관을 위해 정비 가이드 같은 게 필요할 것 같다. 요즘같이 집에서 열심히 운동하고 있었으면, 일출봉 정상까지 오르..
2020.05.24 -
제주여행_여름과 겨울에 걷기 좋은 곳은 비자림_아름드리 비자나무 가득한 곳
"아름드리 비자나무가 가득한 곳" 제주에서도 여름과 겨울에는 걷는 게 힘들 수 있다. 그 계절에는 자연을 느낄 수 있는 야외 활동에 제약이 있다. 개인적으로 겨울에는 곶자왈을 추천하고 싶다. 예전에 곶자왈 숲길 공사를 맡은 적이 있는데, 우거진 수풀이 겨울바람을 막아주기 때문에 따뜻하게 산책을 할 수 있다. 물론 반대로 여름 우기철에는 바람이 안 통하다 보니 습식 사우나에 들어간 것 같아서 피해야 할 시기이다. 우기철만 빼면 여름에도 시원한 숲이다. 비자림은 비자나무가 군락을 이룬 숲이다. 비자나무는 흔하게 보던 나무가 아닐뿐더러, 아름드리나무들이 정말 많이 군락해서 자라고 있는 곳이라서 참 다양한 특색을 가지고 있는 곳이다. 곶자왈은 비옥한 토양이 아닌 돌 위에서 나무들이 자라다 보니, 정말 오래된 숲..
2020.05.23 -
제주여행_걷기 좋은 길_절물자연휴양림과 연결된 “장생의 숲길”
"제주 숲길, 걷기 좋은 길 _ 장생의 숲길. 부모님과 제주여행으로 모시고 다시 와야겠다." 열매에 독이 있어 사약으로 사용했다는 천남성이 숲길 곳곳에서 자라고 있었다. 트레킹을 끝내고 나오려던 순간에 만난 천남성 꽃에 하이라이트가 맞춰져 있었다. 순간의 포착인데, 천남성의 오므리고 있는 꽃에 햇빛이 맞춰져 있으니, 등불에 불이 밝혀진 것 같다. 제주시내 근처에 위치한 절물자연휴양림과 연결된 "장생의 숲길"은 절물오름 주변을 넓게 한 바퀴 돌아서 나오는 순환형 숲길이다. 절물자연휴양림 주차장에 주차비와 입장료를 지불하고 휴양림 안으로 들어와서 오른쪽으로 쭉 목재데크 따라 걸어가면 장생의 숲길 입구가 있다. 그곳에서부터 3시간에서 4시간이 소요되는 숲길이다. 가파른 오르막이나 바닥이 험한 곳이 없이 야자매..
2020.05.23